Menu
Close

Exhibition

기하학적 환영 : 현대와 소통하다

2010.06.11 - 2010.07.09

일주&선화갤러리

이승조 20주기 추모전

일주&선화 갤러리는 지난 3월 개관전이었던 「한국미술, 근대에서 길찾기 – 추사에서 박수근까지」에 이어 한국 기하학적 추상의 시발점이 된 故 이승조 작가 및 후대 미디어 작가들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기하학적 환영 : 이승조 작가 20주기 추모전>을 개최합니다. 본 전시는 올해로 작고 20주기를 맞이한 故 이승조 작가의 작품들을 새롭게 조명하려는 시도이자 후대 작가들의 오마주를 담은 전시입니다. 1963년 오리진 그룹을 창립하며, 기하학적 추상의 확립이라는 한국 근대 회화사에 있어 큰 족적을 남긴 이승조 작가는 1990년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화면의 구조적 분석과 시각적 일루젼을 실험한 작품들을 선보여왔습니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후대의 작가들에게 평면으로 부터의 시각적 환영에 대한 물음을 다시 제기합니다.

전시에 참여하는 6인의 미디어 아티스트들은 기하학적 이미지를 주제로 2차원 평면을 넘어 3차원 공간 및 가상 공간 속에서 가상적인 환영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그들의 시도는 한국 근현대 회화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 했던 이승조 작가의 작업을 바탕으로 한국적 조형미를 발견하고, 단절되었던 한국미술사의 흐름을 탐구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또한, 평면을 바탕으로 한 시각적 이미지에서부터 촉각적-청각적인 공감각적 환영을 제시하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은 새로운 이미지-공간을 체험하게 될 것입니다.

 

 

이승조(李承祚)

1941년 3월 18일생(평안북도 용천)
1990년 7월 작고
오산고등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경력

 

1966-70동대문상업고등학교 교사
1970-78성신여자고등학교 교사
1972국전추천작가 선정(문화관광부)
1974-81성신여자대학교 강사
1977-80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강사
1977-80한국미술협회 이사
1979국전초대작가 선정(문화관광부)
1981-88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조교수

 

개인전

 

1973신세계 화랑 (서울)
1976명동화랑(서울)
1978한국화랑(서울)
1980관훈미술관(서울)
1987두손갤러리(서울)
1991호암갤러리(중앙일보사 주최, 서울)
1996토탈미술관, 갤러리현대(서울)
2000부산시립미술관(부산)

 

수상

 

1968제1회 동아국제전 수상(동아대학교 주최, 부산)
제17회 대한민국미술전(국전) 문화공보부장관상 수상(문화공고부 주최, 서울)
1969제18회 대한민국미술전(국전) 특선(문화공고부 주최, 서울)
1970제19회 대한민국미술전(국전) 문화공보부 장관상 수상(문화공고부주최, 서울)
1971제20회 대한민국미술전(국전) 특선(문화공보부 주최, 서울)
1975제7회 Cagnes 국제 회화제 국가상 수상 (Cagnes, France)
1980제6회 한국 미술대상 최우수상(한국일보사주최, 서울)

(단체전 이하 생략)

 

김병호

aluminum, arduino, piezo, 2010

「수평적 개입(horizontal intervention)」은 비스듬한 선이 기하학적 대칭을 이루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에서 나타 나는 기하학적 대칭과 단순성은 사물의 본질로 부터 최소한의 요소로서 조형적 미를 확보하려는 김병호 작가의 특징 이기도 하다.

 

Profile

홍익대학교 판화과 졸업
중앙대학교 첨단영상 대학원 영상공학과 졸업

 

2010소마미술관, 서울
2010Fantastic Virus, 터치아트 갤러리, 헤이리
2009Two Silences, 프랑크푸르트시 문화부 스튜디오, 독일&국립 고양 미술 스튜디오, 한국
2008Assembled Fantasy, 웨이방 갤러리, 서울
2006Their Flowers, 쿤스트독 갤러리, 서울
2005부유하는 설치전(Magnet Installation), 한전 프라자 갤러리, 서울

kimbyoungho@gmail.com / www.bitpaste.com

 

김성훈

가변 설치, mixed media, 2010

김성훈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담겨있는 이미지의 실체를 탐구하는 작가이다. 다양한 성분의 원소들이 모여 또 다른 모습의 완전체를 구성하는 이미지의 유기적 구조를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시각화한다. 그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아날로그 형상들은 원소들로 분해되고, 다시 디지털 적으로 변환되어 우리의 인식 구조 속으로 침투한다.

 

Profile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 NYU ITP 졸업

 

2010Asia Digital Art Award, Fukuoka Asia Museum, 일본
2009Data Formation, iida 2009, 인천송도 컨벤시아홀, 인천
2009Music visualizer Frisbee Apple shop 명동, 서울
2010Kolong Interactive Skin 코오롱 스포츠 빌딩 오픈 기념 퍼블릭 인스톨레이션/쇼, 서울
2009Window_Contemplative Spring Show 2009, New York, NY
2008UNTITLED Winter Show 2008, New York, NY
2008Break the Wall Winter Show 2008, New York, NY
2007Lorenz Attractor Movement Algorithmic Composition, Exit Art Gallery, New York, NY
2007Substance 1/2 Aliceon Award 2007, 트리아트 뉴 미디어 갤러리

kymod@gmail.com / http://www.sunghunkim.com

 

김태은

mixed media, 2010

김태은 작가는 2차원 이미지에 시간성을 부여하여, 원본텍스트(이승조 회화)위에 이미지를 덧입히는 ‘따라그리기’ 행위를 영상으로 기록한다. 이 작품은 이승조 작가에 대한 오마주 형식의 작품으로서, 평면 이미지 위에 쌓여가는 시간적 행위에 관한 작가의 연구이다.

원본 이미지
: 이승조, _Oil on Canvas_145x112cm_1986

 

Profile

홍익대학교 회화과 동대학원 졸업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박사과정

 

2010<숨쉬는 환영 – Image in Time>, 전주국제영화제, 전주
2010<봄> 미술관 가는길, 서울
2010<과학놀이터 전>, 제주도립미술관, 제주도
2010스페이스 캔, 서울
2009아트센터 나비, 서울
2009<버라이어어티>,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9Cinematic Region, 인더박스 갤러리, 서울 / KIC Center, 상하이 중국
2008Bird Strike, 가나 아트센터, 서울
2006Double Exposure, 트리아드 뉴미디어 갤러리, 서울
2003Poison, 창 갤러리, 서울
2000시각적봉입장치, 서남미술관, 서울

taeunmap@hanmail.net / http://www.iiru.net

 

Mioon

단채널 비디오, HD, 약 4분, 2010

「작동-13개의 검은 구슬」이라는 제목을 가진 이 작품은 전체 프로젝트의 네러티브에서 한 부분을 담당하게 될 작업이다. 비디오에 등장하는 13개의 검은 구슬은 스스로 움직여서 서로 부딪히게 되고, 그 부딪힌 힘으로 다른 구슬과 부딪히고 스스로의 움직임을 전달하게 되는데, 스스로 움직이는 상황 혹은 그렇게 보이는 상황과, 그로 인해서 생겨난 힘의 전달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Profile

Miion (김민선 + 최문선)

 

김민선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뒤셀도르프 미술대학, 쾰른 미디어 예술대학 연구과정 졸업
김민선뒤셀도르프 미술대학
마이스터슐러 뒤셀도르프 미술대학 졸업
2010Blickwechsel. NRW 아트 프로젝트. 코스펠트 쿤스트페어라읶. 독일 (예정)
2008가나 포럼 스페이스 서울. 한국
2007IASK 국립 미술창작 스튜디오. 서울. 한국 갤러리 루트 로이히터. 뒤셀도르프. 독일
CEAAC 갤러리. 스트라스부르그. 프랑스
2006Wilhelm Fabry 예술상 수상 展 힐덴 쿤스트라움. 힐덴. 독일
빌헬름 렘부룩 미술관. 두이스부르그. 독일
2005쿤스트뮤제움 본(Kunstmuseum Bonn). 본. 독일

info@mioon.net / http://www.mioon.net

 

한승구

<4 Element – water>, 가변 설치, mixed media, 2010

한승구 작가의 「4 Element – water」는 자연의 4원소의 개념을 소리의 영역으로 확장한 작품이다. 자연 속의 유기물은 인간들에게 친숙한 감정을 주는 소재이다. 특히 인간은 자연스레 4원소(물놀이, 불놀이, 모래 놀이)를 이용한 놀이를 즐겼으며, 이 매체의 특유한 촉감으로 인한 유동성과 심리적 이완성을 경험한다. 즉 정서적, 심리적 으로 안정감을 이 물질을 통해 경험한다. 이는 억지로 자아내는 감정이 아니라 자연 속에서 경험하는 감정이다.

 

Profile

서울대 조소과
서강대 영상 대학원 예술 공학과 졸업

 

201021세기의 첫 10년 _ 서울 시립 미술관 경희 분관 _ 서울
오브제 – 사이(between). 부평 아트센터. 부평. 한국
2009No. 광주 시립 미술관. 광주. 한국
transformation in art : 변신. 사비나 미술관. 서울. 한국
media in life. 충정각. 서울. 한국
20086 Young Artists of artforum Newgate. 아트 포럼 뉴게이트. 서울. 한국
세계인의 얼굴. 경기도 박물관. 경기. 한국
천송이의 꽃을 피우자. 인사 아트 센터, 부산 가나. 한국
천송이의 꽃을 피우자. 프랑스 씨떼. 프랑스
2007나르시소스의 두 얼굴. 아트포럼 뉴게이트. 서울. 한국
2006Networked Identities. 아트 스페이스 휴. 서울. 한국

mixed_art@naver.com

 

Tacit Group

mixed media, 2010

작품 제목인 op sound는 ‘op(-tical) art’에서 온 말로 본 작품에서는 두 가지를 의미한다. 하나는 op art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착시를 청각적으로 풀어낸다는 것이다. op sound에서의 op이 함의하는 또 다른 하나는 ‘operational’로, 소리가 마치 연산자(operator)의 역할을 하며 음악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기본 모티브가 되는 소리는 16개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데, 각 스피커마다 그 속도와 리듬에 조금씩 차이를 두어 곡의 진행에 따라 결과적으로 복합박자(poly-meter)의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동시에 시작했던 소리(음절)는 조금씩 흩어지며 다양한 음고와 리듬을 만들어내다가 오랜 시간 후에 결국 다시 하나로 뭉친다.

 

Profile

Tacit Group(장재호, 가재발, N2)

 

2009. 1 1아트센터나비 공연
2009. 08태싯그룹 단독공연 with 기술미학포럼, 두산아트센터
2009. 07공간 500호 기념 공연, 스페이스 그룹 신관
2009. 05백남준 아트 센터 오버 뮤직 시리즈 공연 : 태싯그룹 <청중에 대한 오마쥬>
2008. 09쌈지 스페이스 10주년 기념 공연 : 영상 네트워크 퍼포먼스

jaeho.net@gmail.com / http://www.tacit.kr

기하학적 환영 : 현대와 소통하다

이승조, 김병호, 김성훈, 김태은, 한승구, Miion(김민선,최문선)

2010.06.11 - 2010.07.09

일주&선화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