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Exhibition

Graphic Semantics

2007.03.13 - 2007.04.29

일주&선화갤러리

그래픽 디자이너로 알려졌던 작가들이 지속적으로 팽창하는 현대미술 시장을 배경으로, 소위 순수미술이라 불리는 영역에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재미있는 움직임이라 말할 수 있겠다. 일주 학술문화재단의 일주 아트는 그래픽 언어를 통해 도전적이고도 신선한 미술의 개념을 유쾌하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창출해 내고 있는 영국의 Scott king 과 박영훈을 GRAPHIC SEMANTICS 전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일주 아트를 통해 한국에 처음 소개되는 영국 작가 Scott king은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교육을 받았으며, i-D 매거 진 의 아트디렉터, 잡지 슬리지네이션(Sleazenation)의 크레에이티브 디렉터를 역임했다. 이번 전시에서 그의 작업 이 보여주는 날카로우면서 냉소적인 그래픽 언어는 인지과학에 대한 기발하고 독특한 접근 방식으로 펼쳐진다. 이러한 변이는 혁명으로부터 도출된 사상을 다루는 다양한 시도들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논리와 이론의 연구로 이어진다. Scott king의 작업은 실존주의, 이성주의,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관념을 주로 영국에 서 비롯되었던 펑크 하위문화(punk subculture)의 연장선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문화, 정치, 사회경제의 영역으로 관객들을 이끈다.

응용미술을 전공하고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한 박영훈이 선보이는 작품 2점은 절제와 단순함 등 자신만의 기호로, 내적 규칙과 동양사상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감각을 초월한 실재 즉 본질로서의 무(無)의 개념을 보여준다. 박영 훈에게 있어서 일주 아트라는 화이트 큐브 안에 존재하는 ‘기능하기 위해 만들어진 흰 콘센트’와 기둥은 다채 로운 미술작품들을 수용할 공간의 인위적 방해물일 뿐이다. 따라서 콘센트와 기둥을 자신의 작품으로 가림 또는 대 처함으로써, 공간이 갖고 있던 기존의 인테리어 설정을 초월하고자 한다. 여기서 박영훈은 무(無)를 단순히 ‘없다’는 개념이 아니라 물질의 부재로 가득 차 있음을, 그래서 새로운 것을 적용 또는 시도할 수 있는 ‘무한적’ 의미로 제시한다. GRAPHIC SEMANTICS 전은 그래픽 언어를 상징계의 형태로 탐구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관계성을 관객들과 함께 주목하고자 한다. 서로 문화적 배경은 다르지만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두 작가의 작업은 가시성, 표현성, 표상성에 대한 개념에 대해 보다 깊이 접근하게 해 줄 것이다. 관객들은 이 작가들의 개인적 이고 예술적인 영역의 내면을 공유하며 결국 중요한 것은 ‘무엇을 보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보는가’라는 것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Scott King –

디자인 월간지의 아트 디렉터이자, 월간지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그리고 미국 잡지 편집인 협회가 선정하는 ‘Best Cover’ 와 ‘Best Designed Feature of the Year’를 수상한 그래픽 디자이너 스콧 킹. 저술가이자 역사가인 Matt Worley와 함께 프로젝트 등 대중문화와 그 구조에 관한 작품을 제작하기도 한 그는 여전히 그래픽 디자인 작업을 하면서, 예술가로서 작업에 더욱 중점을 두고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런던, 뉴욕뿐 아니라 ICA, Cubitt, KW Berlin, Portikus and White Columns 등 유럽 갤러리에서도 다수의 전시회를 가진 바 있다.

(위 내용은 www.scottking.co.uk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주요 개인전

2006‘Oh! Pylon Heaven’, Galleria Sonia Rosso, 투린, 이탈리아
2006‘Information’, Bortolami Dayan, 뉴욕, 미국
2005‘Art Statements’, Galleria Sonia Rosso , Art Basel 36, 바젤, 스위스
2005‘Lee Brilleaux Memorial Bench’, White Columns, 뉴욕, 미국
2004‘Scott King’, Miller’s Terrace, 런던, 영국
2003‘I’m Worried About Cliff…’, Supportico Lopez, 나폴리, 이탈리아

 

주요 단체전

2006‘Che Guevara: Revolutionary and Icon’, Victoria & Albert Museum, 런던, 영국
2006‘Defamation of Character’, PS 1, 뉴욕, 미국(curated by Neville Wakefield)
2006‘Conversation Pieces’, Centre D’art Contemporain Geneve, 제네바, 스위스
2005‘Other People’s Projects’, White Columns, 뉴욕, 미국
2005‘Herald St & The Modern Institute’, GBE, 뉴욕, 미국

 

Awards

‘Total Publishing Award for ‘Best Designed Cover Of The Year’,
for ‘Cher Guevara’, Sleazenation, February 2001
Total Publishing Award for ‘Best Designed Feature Of The Year’,
for ‘Stepford Lives’, Sleazenation, February 2001
D&AD Nomination for Sleazenation ‘Absolut Sell Out’ cover, September 2002

 

– Park Yeonghun –

1965년 9월 대구 출생
현재 인덕대학 디자인멀티미디어과 교수

학력

1996프랫 대학원 졸업(M.S)
1993한양대학교 사범대학 응용미술학과 졸업(B.F.A)

 

주요 개인전

2005‘See’ multimedia installation, 브레인팩토리, 서울
2004‘See’ multimedia installation, 갤러리조선, 서울
2001‘interactive media installation’, 이목화랑, 서울
2000‘multimedia installation thirty days’, 갤러리 아트라이프, 서울
1999‘multimedia installation ten days’, (空間) 재단법인 김수근 문화재단, sa gallery, 서울

 

Awards

제 33회 대한민국 산업디자인 전람회 입선(시각디자인 부문/주최.상공부), 1998
리바이스 청바지 hair care product 공모전 채택(levis in new york), 1995
호텔 샌즈 카지노 cip 공모전 채택(ac in new jersey), 1994
제 27회 대한민국 산업디자인 전람회 특선(시각디자인 부문/주최.상공부), 1992
서울일러스트레이션 전국공모전 대회장상, 1991
특선(주최.서울일러스트레이터 협의회), 1989
제 12회 한국 현대미술 대전 최우수상(그래픽 부문/주최.문화부), 1991
한샘 한글디자인 공모전 최우수상(시각디자인 부문/주최.한샘), 1990

Graphic Semantics

스콧 킹(Scott King),박영훈

2007.03.13 - 2007.04.29

일주&선화갤러리